일상5 [회고] 어쩌다 팀장 - 5 우리 팀은 꾸준한 성장과 협력을 통해 성과를 내고 있었지만, 모든 팀이 그렇듯이 내부적으로도 문제를 겪기 마련입니다. 그중 하나는 팀원 한 명의 부적절한 근태 문제였습니다. 이는 결국 팀 전체에 큰 피해를 주게 되었습니다.문제의 시작은 작은 지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한두 번의 지각과 조기 퇴근을 대수롭지 않게 넘겼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빈도는 잦아졌고, 팀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해당 팀원은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가올 때에도 자주 자리를 비웠고, 이는 다른 팀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안겼습니다.처음에는 이 문제를 비공식적으로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그와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누며 근태의 중요성과 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변명만 늘어놓고, 근.. 2024. 5. 26. [회고] 어쩌다 팀장 - 4 우리 팀이 성공적으로 안정화되고 성장해 나가자, 주변의 시선도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레거시 시스템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술과 방법론을 도입하며,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자연스럽게 다른 팀들의 질투와 시기를 불러일으켰습니다.다른 팀들로부터 오는 미묘한 경쟁과 불만을 처음으로 느낀 것은 한 사내 회의에서였습니다. 회의 도중, 다른 팀의 리더가 우리의 새로운 CI/CD 파이프라인에 대해 비꼬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너희 팀의 그 화려한 자동화가 정말로 도움이 되긴 하나?"라는 말투로 시작된 질문은 우리가 이룬 성과를 깎아내리려는 의도가 분명했습니다.처음에는 이러한 반응에 당황했지만, 곧 이것이 우리 팀의 성공을 인정하는 반응임을 깨달았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상황을 방치할.. 2024. 5. 26. [회고] 어쩌다 팀장 3 팀이 다시 안정을 찾아가면서 분위기가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오래 안주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다음 단계는 우리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위해 매우 중요했습니다. 나는 팀에게 새로운 목표와 도전을 설정할 때가 되었다고 결심했습니다.먼저, 지식 격차를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워크숍을 시작했습니다. 최신 기술과 우리 분야에 관련된 방법론을 중심으로 진행했습니다. 각 팀원은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세션을 주도하도록 독려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자신감을 높이고 지속적인 학습과 협업 문화를 조성했습니다.동시에 멘토링 프로그램의 기초를 다지기 시작했습니다. 시니어 멤버들은 주니어 멤버들과 짝을 이루어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지식 전수가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이는 팀 내의 대인 관계를 .. 2024. 5. 26. [회고] 어쩌다 팀장2 일단 팀에 가장 문제는 기존 Legacy 서비스의 장애였다. 아키텍쳐를 온전히 바꾸는게 최선이였지만 윗분들을 설득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이유를 만들어서 내밀어야 했고 물론 그전에 팀원들의 컨센서스를 맞쳐야 하느게 제일 큰 어려움이였다. 양을 슬슬 몰듯 답정너스타일로 전면 재개발을 해야 한다는 목적지로 팀원들을 겨우 설득을 하였고 윗분들에게 적당한 시간을 받아내는것까지 성공했다. 킥오프를 진행하기로 한날. 2주동안 몰았던 양들이 다 도망가듯 프로젝트는 취소를 당했고 그 이유는... 어쨋든 전면 재개발이 불가능해지면서 운영에 지쳐가는 팀원들을 위해 기존 레가시를 조금씩 손을 봐야했고 블랙박스였기때문에 input/output 을 수정할수는 없는 상태였기에 인프라적으로 처리를 할수있는거에 초점을 둬서 조금씩 조금.. 2022. 8. 25. 이전 1 2 다음